호텔모텔 경영/호텔모텔투자

모텔투자방법 두번째 이야기(모텔투자 실패는 왜?)

좋은 뉴스 2013. 4. 3. 00:11

  

모텔투자방법 두번째 이야기

모텔투자  실패는  왜?

 

 

 

모텔 투자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방법은  직접투자로 직접 매매나 임대하여

            운영하는  방법인데, 이는  운영경험이나

      철저한  준비를  해온 사람들에게 적합하며,

      수익률이 높은반면, 위험도 따를수 있으며

      자기시간과 노력을  그만큼 투자해야한다.

     

 

두번째 방법은  간접투자로 임대,위탁운영자에게 

      일정금액을  투자하여  일정수익을  약정하여

      거둬들이는  방법이다.

      이는  현금을  안전하게 전세권설정

      이나 저당권설정등으로  법적안정장치후에

      운영자와 약정된  수익률을  지급하는 방식이며,

      투자자가  운영경험이 없이  투자금에대한 높은

      수익률(연12%이상~  )을  올릴수  있으며,

      투자자는  경영에 얽매이자않고 

      자기만의 사업이나  시간을  가질수 있다.

 

 

 

 

 

 

오늘은  호텔모텔투자  성공사례가 아닌 실패사례를

예를 들어 설명키로 한다.

 

EX1) 서울에 사시는 K사장은 모텔업이  고수익사업임

       을 알고  여러곳의 모텔을  찾아 임대사업을 고려

       하던중 강원도의 C모텔을(객실34실)  2013년

       1월초  서울F부동산에서 보증금1억,월차임500

       만으로 계약하여  운영에 나섰다.

       C모텔이 위치한지역은  전반적으로  겨울철에

       는  전혀  수익이없고 적자에 허덕이는곳이

       많은 곳이며,  성수기(관광시즌,운동경기)에만

       반짝  매출이  오르는  지역이었다.

         부동산과 운영자의 말만 믿고  겨울철 1800만

       원,성수기2500만원이상오른다는 이야기에 운

       영에 나섰던 K사장은  운영시작날부터  속았다는

       것을  알고  필자에게  도움을  요청하였지만,

       이미 계약금과  잔금이  지불완료된 상태였으며,

       필자도  직접 운영에  참여하지않는한  큰도움을

       줄 방법이 없었다.  도움이라면, 거짓매출로 계약

       을 성사시킨 소개한 부동산과  전임차인

       에  사기고소를  한다면  승산은  있겠지만,

       이마저도 K사장의  부분책임도  감수해야만

       해야했고, 법적소송이  진행되어  시간이  길어

       지게 되면 K사장도  손실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재는  매출상향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실천

       하여  매출을  올리는것이 당장  필요한 상황

       인데  이것도 시간이 필요한상황이다.

 

    실패원인분석

       ⓐ 투자분석과 경험이 전혀없는  컨설턴트

           (부동산)과의  계약체결.

       ⓑ 투자자의 매출추정 지식 부족.

       ⓒ 상권분석없이  건물외관과  객실수에 치중

           즉, 대다수의 초보투자자들이  실수하기

           쉬운 허우대가 다가  아니라는것을  간과

           하였다.

 

 

   ☆☆위탁운영가능한  호텔이나 모텔 찾습니다.

 

   다년간의 경력으로  매출을 상향시킬 노하우가

   있으며, 매매를  원할시 다양한 마케팅방법으로

   매매를  성사시켜드리겠습니다.

 

     운영자 경력  --- 특급호텔및리조트 객실,

                              식음료,판매판촉 10년이상.

                              모텔운영경력 10년이상

      

 

     

http://blog.daum.net/motelndsucess

호텔모텔창업,투자,매매,임대,위탁,경영정보안내

모텔투자,호텔투자,호텔매매,모텔매매,모텔임대,호텔임대,호텔모텔 위탁경영